천 염색
염료 종류
천연염료 :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염료의 염착을 위해 매염제 사용
합성염료 : 직접염료 – 식물성 섬유 (소금) ,
산성염료 – 동물성 섬유 (식초)
분산염료 – 합성섬유 (분산제)
방염에 의한 방법 : 홀치기염
전사 기법 : 전사염료
발염 기법 : 발염제, 치아염소산나트륨 (락스)
염색: 염료나 안료를 사용해 피염물에 색체를 물들이는 작업
섬유의 종류 염료의 성질, 염료의 제조와 매염제 등에 따라 염색 방법이 달라짐
침염 : 염료를 용해시켜 실 또는 섬유를 직접 담가 염색
홀치기염 (Dyeing)
염색하기 전 피염물의 일부를 실로 견고하게 묶거나 감아서 방염한 후 침엽법으로 염색
감은 실을 풀면 묶은 모양따라 다양한 무늬가 나타나게 되는 무늬 염색법
- 천준비, 디자인 계획 (무늬가 들어갈 위치와 색 조합)
- 묶기, 접기, 바느질, 클램필하기
- 염색과 수세
- 다시묶기, 묶은 위에 다시 묶기 그리고 재차 염색
- 묶은 부분 풀기, 수세와 건조 후 다림질
I. 마블링
천을 구겨 주름을 잡아 실, 끈 고무밴드 등을 이용해 얼기설기 묶는 방법
결과물이 마치 대리석무늬를 연상 시킨다하여 붙여진 기법
주의! 작업 시 실로 너무 단단하게 묶으면 천이 겹쳐들어간 부분은 염색이 안될 수 있고, 반대로 너무 느슨하게 묶으면 염색할 때 염료가 틈 사이로 침투해 문양이 거의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강도를 잘 조절해서 고르게 주름이 잡히도록 해야한다.
자유롭게, 돌려묶기 (손에 쥔 천을 다른 손 위로 돌려 매듭 짓는 방법)
꼬아 묶기 (천의 한쪽 끝을 단단히 붙잡고 다른 쪽은 계속 비틀어 꼬아 꼬여진 상태를 실로 묶는 방법)
II. 원형도
감아 올리기
천의 뿌리 부분을 2~3회 돌려 감을 실을 그대로 감아 올렸다 다시 내린 후 끝맺기 한다.
묶는 재료의 굵기나 간격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얻을 수 있다.
주름을 손으로 잡기 때문에 간격이 일정하지 않다.
깊이 접혀 들어간 부분이 있을 경우 염색 후 흰 부분으로 남게 되니 주의한다.
- 여러 개의 원형
천의 여러곳을 잡아 감아 올리기 방법으로 붂어준다
천의 한 곳을 잡아 중간 중간을 실로 감아 묶어 준다.
- 기물넣어 원형
천안에 여러가지 형태의 재료를 넣고 묶어 문양을 만드는 방법
안에 넣는 재료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문양을 얻을 수 있다.
III. 접기와 접어서 묶기 기법
접기
천을 아코디언 묶기 한 후, 삼각이나 사각, 직사각 등 기하학적으로 접은 후 염액에 부분을 담가 염색하는 방법
접어서 묶기
플리팅
천을 아코디언 모양으로 접은 후 실이나 고무줄로 다양하게 접는 방법
접은 천에 간격을 주어 각각 매듭을 만들면 줄무늬를 표현할 수 있다.
IV. 클램핑
판염
천을 접은 후, 나무판이나 막대 사이에 천을 고정시켜, 고정된 천은 염료가 침투하지 않도록 방염 처리 하는 방법
천을 접는 방법, 판이나 막대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낼 수 있다.
통을 이용한 기법
원통을 천으로 감고 그 위를 실로 일정하게 묶은 후 밀어서 조여 문양을 만드는 기법
천을 감는 방법과 각도, 실 묶는 간격, 압축 방법, 비트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문양이 나온다.
천을 아코디언 접기 한 후 원통에 사선으로 감아 조이면 선명한 사선의 주름을 얻을 수 있다.
열전사
열에 의해 증발되는 성질을 이용
고체 상태의 염료가 180~200도의 고열에 순간적으로 승화하여 기화된 염료가 직물에 전사되는 기법
-이미지, 문양 등 그리기 (원화 그대로 사용)
-붓 또는 다른 재료를 이용해 칠하기
우연의 효과를 이용 (뿌리기, 불기, 흘리기, 번지기, 얼룩찍기 (다양한 방법 이용하여 이미지 옮기기)
원화 그대로 작업
그림과 직물 사이에 다른 물질을 넣고 작업
찢기 또는 잘라서 작업
2가지 이상의 방법을 혼합하거나 과정을 반복해서 작업
견 silk, 양모 wool
단백질계 섬유
식물성 섬유에 비해 가볍다.
물이나 햇빛에 손상되기 쉽다.
산성염료 이용